티스토리 뷰
코드리뷰후 자동빌드 (Bitbucket, Webhooks)
0. 빌드 자동화
- 소스 Merge후 개발&운영서버에 빌드는 따로해야하니 번거로움이 많음.
- Master, Develop 브런치가 변경 되었을때 Webhooks를 이용해 빌드 자동화.
- Master 브런치 : 운영서버
- Develop 브런치 : 개발서버
- Webhooks : Bitbucket의 기능
1. Webhooks 호출 받는 페이지 개발.
- hook을 받아 만들어놓은 Shell실행.
- NodeJS Source 중 Hook부분 소스
- HOOK_CONFIG.js
2. Bitbucket 으로부터 저장소 가져오기.
- Git 복사.
- git clone https://ID:PW@bitbucket.org/Team/project.git
- Git Branch 변경.
- git checkout master : master로 변경
- git checkout develop : develop로 변경
3. Shell 작성하기
- 구조 : 프로젝트 폴더 -> 최신소스 업데이트 -> 빌드 -> 서버재시작
- run_dev.sh
- run.sh
4. Bitbucket Webhooks 등록
- 위치 : Setting -> Webhooks -> Add webhook
- URL : 이전에 생성했던 Nodejs서버의 URL주소
- Triggers : Pull Request -> Merged ( PR후 Merge부분에서만 hook 발생 지정 )
5. 실행
- PR요청후 Merge시 hook 발생 테스트
- Log 확인 (View Request)
6. 반영후 이전버전으로 돌릴때
- Git 이전버전으로 돌리기
- git reset --hard HEAD~
- reset.sh
7. 마무리
- 반영을 위해 PR후 Merge를 꼭해야하며 Merge를 위해 코드리뷰 필수~
- 발전하는 개발자가 됩시다~
- 더 좋은 방법이나 아이디어 있으신분 공유해주시길 바랍니다. ^^;
- 모든 개발자 화이팅~
- Total
- Today
- Yesterday
- Restore
- 마리아
- electron-updater
- backup
- 브라우저봇
- 자동업데이트
- maria
- AmazonMQ
- auto update
- 오픈API
- 2factor
- 2FA
- activemq
- 봇
- mqtt
- 네이트온
- bitbucket
- elasticsearch mapping
- AWS
- 엘라스틱서치 복구
- 브라우저 제어
- MariaDB Galera
- 엘라스틱서치 백업
- real
- elasticsearch mapping change
- Redis
- ElasticSearch
- puppeteer
- 팀룸
- electron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||||||
2 | 3 | 4 | 5 | 6 | 7 | 8 |
9 | 10 | 11 | 12 | 13 | 14 | 15 |
16 | 17 | 18 | 19 | 20 | 21 | 22 |
23 | 24 | 25 | 26 | 27 | 28 |